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PF총액 한도관리 도입하는 현대건설
현대건설 사옥 전경앞으로 디벨로퍼가 현대건설의 책임준공이나 PFV 지분 출자를 받기가 쉽지 않아진다. 현대건설이 부동산 PF총액 한도를 설정해 관리하고 분기별로 이사회에 보고하는 등 전사적 리스크관리에 나서기로 해서다. 현대건설은 새로운 PF관리 체계를 구축했다고 22일 공시했다. PF운영기준과 의사결정 절차를 재정립해 금융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한편 시장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새 관리 체계에 따르면 PF총액 한도가 도입된다. 한도 관리 대상에는 연대보증과 책임준공을 포함한 신용공여, PFV와 같은 시행법인 지분투자가 포함된다. 또한 상품과 지역별로 익스포저(위험노출액)를 관리한다. 서울과 수도권, 지역별로 분류하고 상품특성(아파트>주상복합>오피스텔>생활형 숙박시설>지신산업센터>상가 등)을 반영해 분양성을 예측, 사업장별로 PF채무 위험값을 매기겠다는 것이다. 연간 PF운영한도와 분기별 관리현황, 운영정책은 회사 이사회에 정기 보고된다. 또한 기존 의사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