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강남 꼬마빌딩과 이면도로의 탄생(1)
테헤란로 일대(게티이미지뱅크)지난 1970년대 강북에 서울 인구가 집중되면서 인프라 시설의 부족과 환경 악화 등 인구 과밀에 의한 문제에 부닥쳤다. 이로 인해 1980년부터 당시 농경지였던 강남이 개발되기 시작됐다. 다만 당시 개발 계획이었던 영동지구촉진방안에 따르면 초기 강남은 주거지(주거 92%, 상업 8%)로 계획돼 필지가 작게 계획됐다. 작은 필지 단위로 공급되면서 법인보다는 개인의 투자가 주를 이뤘다. 문제는 토지를 매입만 할 뿐 투기 목적으로 활용돼 실제 건물 신축은 잘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를 막기 위해 정부는 1989년부터 토지초과이득세를 시행하게 된다. 토지초과이득세란 유휴지, 또는 비업무용 토지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으로 일종의 보유세 성격을 가지는 세제다. 토지초과이득세는 1989년부터 1999년까지 시행된 뒤 폐지됐다. 토지초과이득세의 효과로 강남에 많은 오피스빌딩이 신축되기 시작한다. 필지가 작기도 하지만, 개인이 토지를 소유한 비중이 높기 때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